도대체 주식은 언제 팔아야 할까? | 손실 회피 경향과 손절매

내 주식은 항상 마이너스야. | 손실은 견디지만 이익은 견디지 못하는 주식투자 

무작위로 종목을 선정했을 때 단기간 내, 손실이 날 확률과 이익이 날 확률은 비교적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선물 시장에서 좀 더 명확한데 선물 단기 트레이딩의 방향성 예측 성공은 50%에 비교적 정확히 수렴합니다.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보면 국내 전체 주식시장도 미국 만큼은 아니지만 장기간 플러스의 방향으로 성장을 해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ETF에 투자했다면 손실보다는 이익을 내고 있을 확률이 더 높습니다.

Representational Image


그럼에도 투자에서 이익보다 손실을 내는 개인 투자자가 더 많은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손실은 크게 내고 이익은 적게 내는 매매 행태에 있습니다. 이는 손실을 견디는 것보다 이익을 견디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시장 지수보다 연평균 1.5% 낮은 수익률을 보이며, 적극적으로 거래하는 투자자들의 경우 이 격차가 6.5%까지 확대됩니다. (Barber, & Odean (2000): Trading is hazardous to your wealth: The common stock investment performance of individual investors)

손실이 발생한 종목은 쉽게 정리하지 못하고 원금이 올 때까지 기다리려는 심리가 생깁니다. 반대로 이익이 나고 있는 종목에 대해서는 현재 이익이 사라질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상승 초기에 매도하는 우를 범하곤 합니다.


손실 회피(Loss aversion) 경향(편향)

노벨경제학 수상자인 대니얼 카너먼 교수와 아모스 트베르스키 교수는 손실 회피 경향을 실험으로 증명했습니다. 1,000달러를 잃을 가능성이 50%인 첫 번째 선택지와 450달러를 잃을 가능성이 100%인 두 번째 선택지를 사람들에게 주었을 때, 사람들은 첫 번째 선택지를 고르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기대값을 계산해보면 첫 번째 선택이 더 올바른 선택이지만, 사람들은 손실을 100% 확정짓는 두 번째 선택에 부담을 느끼는 것입니다.

이 같은 심리로 인해 투자자들은 일정한 액수의 이익에서 얻는 심리적 효용보다, 같은 액수의 손실에서 얻는 비효용의 값을 절대적으로 더 크게 받아들입니다.

쉽게 말해 투자에서 1,000만원을 벌었을 때의 행복보다, 1,000만원을 잃었을 때 느끼는 불행이 더 크다는 것입니다.

손실회피(Loss aversion) 경향
손실 회피(Loss aversion) 경향


결국 손실이 난 상황에서는 손실을 확정하지 못하고 회복할 때까지 기다리게 됩니다. 반면 이익을 내고 있는 구간에서는 미래에 더 얻을 수 있는 이익에 대한 기대보다, 현재 이익을 잃을 지 모른다는 손실에 대한 공포를 더 크게 느끼고 조기에 매도하게 되는 것입니다.


주식을 현명하게 매도하는 방법 | 손절매와 가치투자

그래서 기관 투자자들의 경우 상당히 비합리적인 제도이지만 손절매(Loss Cut)를 통해 기계적으로 최대 손실을 제한하는 프로세스를 운영하는 곳도 많습니다. 목표수익률과 연계해 -10%, -20%가 되면 원칙적으로 종목을 매도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손실을 적게 내고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기준과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기준과 연습이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당일 시장 주도주를 따라 데이 트레이딩을 하는 투자자나 단기 모멘텀을 기준으로 스윙매매를 하는 투자자라면 기계적인 손절매와 정해진 목표수익률에 따른 매도가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가치투자에 기반한 한 장기투자자라면 손절매가 옳은 방법이 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주가가 빠질 때마다 저가 분할매수를 통해 매입단가를 낮추고, 기업가치를 기준으로 한 매도전략이 필요합니다. 

물론 이러한 매매전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해당 종목에 대한 충분한 학습과 확신이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warren buffett
버핏은 주가의 등락보단 펀더멘털을 기준으로 매매를 결정하며, 손절매를 선호하지 않는 투자자입니다.


기업가치의 주가 반영 여부를 좀 더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 개별 기업의 모멘텀을 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 모멘텀은 해당 기업에 대한 과도한 긍정적 뉴스일 수도 있고 숫자로 들어나는 실적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 중인 제품이 실제 매출화되고 밸류에이션에 반영되는 시점, 신규 사업부문의 매출이 전체의 50%를 넘어가는 시점 등을 매도 시기로 계획하는 것입니다.


(더 읽기) 주식투자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기초상식

- 데이터의 오류와 주관적인 판단이 있을 수 있으며, 투자권유와 자문을 위한 내용이 아닙니다. 모든 자료의 저작권은 LoginMarket에 있습니다. 허락 없이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다음 이전

ads

ads